강민정, 안선영, 박동국(2018). 혁신교육지구란 무엇인가?. 서울: 맘에드림.
혁신교육지구란?
-
마을교육공동체
-
교육자치와 일반자치의 협력
-
관과 민의 협력, 마을주민과 교원의 협력
-
교육이 학교만의 일이라는 사고를 깨고, 학교도 학교 밖도 아이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건강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할 공동책임을 지고 있다는 자각
-
지역공동체회복운동
-
풀뿌리 운동
-
삶의 공간인 지역(마을)을 교육을 매개로 재구조화하고 아이와 어른, 교사와 주민을 지역에 발 딛고 선 주체로 만드는 민주주의 확대 운동
배경
-
2011년 경기도교육청에서 혁신학교 확대를 위해 시작함
-
'교육' 중심의 거버넌스 정책
-
지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교육예산의 효과적인 활용에 대한 문제의식(시설투자, 부수적 예산 지원에서 혁신학교의 일반화 목적)
-
2013년 서울의 혁신교육지구 실시(2012년 '가고 싶은 학교, 살고 싶은 마을')
① 교육과정 혁신 과정에서 제기된 지역 협력의 필요성(생태, 먹거리, 목공, 연극, 뮤지컬 및 기타 체험과 활동 중심 교육 등)
② 혁신학교 교육철학의 실천에 따른 협력 필요성(삶과 결합된 교육)
③ 지자체 교육지원예산에 대한 문제의식 제기
④ 학교 자체의 노력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다양한 문제들(방과후학교, 교육복지학교사업)
-
낙후된 자치구의 지역 발전 방안으로서의 혁신교육지구
(불균형 성장과 마을의 쇠퇴, 공동체 파괴)
-
지역의 교육환경 개선 필요성(서울의 금천구)
혁신교육지구의 성격과 의의
-
학교와 마을이 함께 공동체를 이루다. (학교는 정규 과정을, 마을은 방과후 교육 돌봄(마을방과후))
혁신교육지구가 추가하는 마을교육공동체는 지역의 아이들이 잘 배우고 삶을 잘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 자율적이고 주체적이며 공동선을 실천하는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을 학교와 마을이 협력하는 새로운 지역사회를 뜻한다. -37쪽-
-
아동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책임, 아동 청소년의 일상적 삶을 교육적 관점에서 책임지는 마을, 학습복지의 실천
-
혁신교육지구 정책의 목표는 결국 교육 공공성의 전면화
- 교육을 매개로 지역공동체성을 되살리다. 교육은 공동의 요구와 참여를 이끌어내는 강력한 매개
- 교육혁신은 민주시민교육을 핵심으로 한다. 아이들을 배움의 주체, 삶의 주체로 보고 그들의 자율성을 최대한 신장시키며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혁신교육지구의 운영과 지원
- 혁신교육지구의 운영 주체는? 학교와 마을, 교육청과 지자체가 공동 운영 주체가 됨(시도단위 협의체 또는 시군구 단위 협의체 구성)
- 협의체 구성: 연구년제 교사, 자치단체의 교육(특별)보좌관, 사무국이나 센터 형태로 조직, 독립된 부서로 신설(마을교육공동체기획단에서 꿈의학교 추진, 칠보학당(마을 방과후 학교 지원 센터, 전북 정읍), 완주 고산 풀뿌리교육지원센터
- 정책예산: 교육경비보조금을 넘어 아동-청소년 복지의 예산 투입의 필요성이 있음
- 제도적 지원: 정책 안정성과 지속성을 담보하기 위한 법적 근거 마련, 대부분 조례 수준에 머물고 있음. 가칭 '혁신교육지구지원법' 혹은 '마을방과후활동지원법' 형태의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함, 교육지구 관계자들 간의 상호 컨설팅, 워크숍, 평가 등의 지원
혁신지구 운영 사례
[시흥시]
- 시즌1(2011.3.~2016.2.)
- 혁신교육협의회: 상임위원회(시장과 교육장 등 20명 내외, 연 2회 개최)와 상시적 실무협의를 위한 운영위원회(양 기관의 과장 등 20명 내외)
- 교육격차 해소와 생활지도를 위한 상담사 활용: 학생-학부모 상담, 상담 수요조사, 학생-학부모-교사 상담교육 등
- 교과와 독서를 연계하는 독서토론지도사 제도: 교사들의 슈퍼바이저 역할, 학부모 연수와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 기획, 독서 관련 수업 10시간
- 수업과 배움의 질을 높혀준 수업협력교사
- 교사를 교육활동에 온전히 집중하게 돕는 행정실무사
- 열린 도서관을 추구하는 사서 및 별빛도서관 운영
- 음지 없는 학교, 교육복지사와 함께하는 희망심기
- 창의적 교육과정을 통한 지역사회 연계 교육과정 재구성
- 배움 중심 수업을 강조한 교실 수업 개선: 수업 컨설팅, 수업 분석실 구축 등
- 중고등학교 간 예술 체육 연계과정 운영: 예술 체육 중점학교
- 시즌2(2016.3.~2021)
- 학교 안으로 들어간 체험교실, '목공체험'
- 창의체험학교: 생태, 문화, 역사, 환경 등 지역 자원을 활용한 현장학습(도시 숲 체험, 참이슬마을공동체 여행 등
- 지역 교육기관과 학교교육과정의 연계, 마을교육과정: 지역 교육기관이 학교교육과정에 맞춘 프로그램 발굴하고 학교는 신청하여 참여, 다문화이해 교육, 리더십 함양 프로그램
- 배움이 곧 미래가 된느 곳, 꿈의학교
- 지역사회와 학교, 학생 모두가 주인인 '마을축제'
- 행복교육센터를 중심으로 한 강력한 교육거버넌트 구축
- 혁신교육지구 전담팀 구성: 교육청(교육행정 6급+행정직 1명+행정실무사+장기출장교사), 시청의 전담팀
- 꿈의 학교: 꽃에 대한 모든 것, '꽃꿈 꿈의학교', 남시흥오케스트라 꿈의 학교, 정왕꿈의 학교 '여기'미디어반, 정왕생태꿈의학교 다큐제작반, ABC발달장애인 꿈의학교 등
[도봉구]
˙
·
·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의 과정(Jerome S. Bruner), 이홍우 역 (0) | 2019.07.31 |
---|---|
프로젝트 학습 (0) | 2019.01.29 |
몽고메리 카운티 공립학교(Montgomery County Public Schools)의 교육과정 2.0 (1) | 2019.01.22 |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초, 중, 고) (0) | 2018.05.17 |
(요약)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설계 (0) | 2018.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