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도서6 말의 품격 누가 함부로 손가락질 하는가? 누군가를 손가락질하는 순간 상대를 가리키는 손가락은 엄지 뿐이다.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세 손가락은 ‘나’를 향한다. 손가락질은 가리키는 행위를 말한다. 방향을 가리킬 때, 사물이나 사람을 가리킬 때 등이다. 사람에게 손가락질 한다고 하면 대부분 ‘삿대질’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 말다툼 중 손가락질 행위는 모욕죄에 해당한다는 법원의 판결도 있으니(조선일보, 2014. 11. 18.) 습관적으로 손가락질하다가는 낭패를 당할 수도 있다. 손가락질을 받아 본 경험을 떠올려 보면 단순히 나를 가리키는 행위라고 해도 기분은 좋지 않다. 특히 상황과 맥락을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손가락질을 받았다면 더욱 찜찜한 기분이 든다. 손가락질에 대한 우리의 경험이 대부분 부정적으로 남아 있기.. 2021. 4. 16. 문재인 이후의 교육 이범(2020). 문재인 이후의 교육. 서울: (주)메디치미디어 1부 코로나19에서 K-에듀로 1장 | 한국, 보편적 원격 교육에 성공하다. 한국이 '보편적 원격 교육'에 성공한 요인은 높은 인터넷, 스마트기기 보급률, 접속 환경이 열악한 학생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 공공기관이 미리 준비한 플랫폼과 콘텐츠, 엄청난 동시접속을 견뎌낸 시스템 지원 등이 어우러진 결과이다. 이 모든 조건이 충족된 나라는 한국 이외에는 거의 없다. -22쪽- 2장 | 온라인 교육의 역사와 전망 2000.9. 2001 2004 2006 2008 2014 2015 메가스터디 사이버대학 EBS TED MOOC 미네르바스쿨 K-MOOC 현 단계의 온라인 교육을 정리해보자. 중심은 실시간 쌍방향 수업으로 놓고 동영상 강의를 보조적으로 .. 2021. 2. 8. 상자 밖에 있는 사람 우리 모두는 각자 다양한 상자 안에서 살아간다. 가정에서, 직장에서, 친구관계에서, 모르는 사람과의 관계에서 등에서 각양각색의 상자 안에 있다. 우리가 각자의 상자 안에서 생각하고 행동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상황에 따라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상자의 크기, 색, 재질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상자에서 나와 상자 밖에서 다름을 인식하는 것이 관계의 기본이 되어야 한다. 문제(갈등, 불신 등)의 중심에 '내가' 있고, 그 문제의 원인이 나에게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나의 상자를 인정하고 상자 밖으로 나오는 첫걸음이 되는 것은 아닐까? "자기기만=상자 안에 있는 것" 자기기만이 우리 자신의 영향력의 본질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과 상대방의 경험까지도 결정짓는다는 사실을 다루려고 .. 2020. 11. 18. 혁신교육 정책피디아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0. 10. 8. 이전 1 2 다음